2023년 36주차(9.3.~9.9.) 감염병 표본감시 주간소식지입니다. *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.
1. 인플루엔자 및 급성호흡기감염증 ? 외래환자 감시 - 인플루엔자 의사환자분율은 11.3명(/1,000명당)으로 전주 대비 증가, 주로 1-6세, 7-12세 연령층에서 증가 - [병원체(바이러스)] 인플루엔자바이러스 5.1%, 급성호흡기감염증 바이러스는 아데노바이러스 38.6%, 리노바이러스 12.6% 등 ? 입원환자 감시 - (바이러스성) 환자는 1,621명(아데노바이러스 858명(52.9%), 리노바이러스 365명(22.5%) 등) 보고 * 아데노바이러스는 26주부터 최근 2달간(6.25.-9.2.) 지속 증가하였으나 전주 대비 소폭 감소, 과거 동기간('18년 398명, '19년 431명) 대비 높은 발생 지속 - (세균성) 환자는 74명(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66명, 클라미디아균 폐렴균 8명) 보고 ? 중증급성호흡기감염증 입원환자 감시 - 신규 환자는 258명으로 전주(307명) 대비 감소 - (바이러스성) 아데노바이러스 55건(41.7%), 리노바이러스 35건(26.5%),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11건 (8.3%) 등 보고 * 아데노바이러스는 25주(6.18.-6.24., 23건)부터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전주 대비 감소, 주로 1~6세(87.3%) 중심으로 발생 - (세균성) 폐렴구균 10건,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8건 등 보고 2. 장관감염증 ? 환자 감시 - (바이러스성) 환자는 175명(아스트로바이러스 79명(45.1%), 사포바이러스 39명(22.3%) 등) 보고 - (세균성) 환자는 299명(살모넬라균 130명(43.5%), 대장균 101명(33.8%) 등) 보고 * 살모넬라균은 계절성에 따라 19주(5.7.-5.13., 50명)부터 증가가 지속되어 34주(148명)에 최다 발생 후 2주 동안 감소세 유지 중 - [병원체(35주차)] 급성설사질환 원인 바이러스는 아스트로바이러스, 사포바이러스 각 1.4%, 급성설사질환 원인 세균은 병원성대장균 8.1%, 황색포도알균 3.6% 등 3. 수족구병 및 엔테로바이러스감염증 ? 수족구병 의사환자분율은 13.1명(/1,000명당)으로 3주 연속 감소하여 최근 4달 중 가장 낮은 발생 * (연령별) 0-6세 17.8명, 7-18세 4.3명 ? 엔테로바이러스감염증 환자는 57명(수족구병 35명(61.4%), 포진성구협엽 14명(24.6%) 등) 보고 - [병원체(35주차)] 엔테로바이러스 21건(수족구병 19건 등) 4. 안과감염병 ? 유행성각결막염 의사환자분율은 15.3명(/1,000명당)으로 전주(13.1명) 대비 증가 * (연령별) 0~6세 52.1명, 7~19세 30.6명, 20세 이상 11.9명 ? 급성출혈성결막염 의사환자분율은 0.6명(/1,000명당)으로 전주(0.6명) 대비 동일 * (연령별) 0~6세 4.8명, 7~19세 0.7명, 20세 이상 0.3명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