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3년 34주차(8.20.~8.26.) 감염병 표본감시 주간소식지입니다. *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.
1. 인플루엔자 및 급성호흡기감염증 ? 외래환자 감시 - 인플루엔자 의사환자분율은 10.6명(/1,000명당)으로 최근 5주간 감소세 지속 - [병원체(바이러스)] 인플루엔자바이러스 2.1%, 급성호흡기감염증 바이러스는 아데노바이러스 40.1%, 리노바이러스 11.6% 등 ? 입원환자 감시 - (바이러스성) 환자는 1,518명(아데노바이러스 819명(54.0%), 리노바이러스 265명(17.5%) 등) 보고 * 아데노바이러스는 26주(6.25.-7.1., 216명)부터 증가세 지속, 예년 대비 높은 발생을 지속하며 1~6세(78.6%), 7~12세(16.4%) 중심으로 발생 지속 - (세균성) 환자는 48명(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42명, 클라미디아균 폐렴균 6명) 보고 ? 중증급성호흡기감염증 입원환자 감시 - 신규 환자는 288명으로 전주(320명) 대비 감소 - (바이러스성) 아데노바이러스 61건(44.5%), 리노바이러스 40건(29.2%),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13건(9.5%) 등 보고 * 아데노바이러스는 25~29주(6.18.-7.22.)까지 지속 증가, 이후 증감 반복하며 주당 60건 내외 유지 - (세균성) 폐렴구균 8건,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6건 등 보고 2. 장관감염증 ? 환자 감시 - (바이러스성) 환자는 185명(아스트로바이러스 73명(39.5%), 사포바이러스 51명(27.6%) 등) 보고 - (세균성) 환자는 328명(살모넬라균 144명(43.9%), 대장균 108명(32.9%) 등) 보고 * 살모넬라균이 계절성에 따라 32주에 일시 감소한 후 2주 연속 증가하며 보편적 유행 양상 지속 - [병원체(33주차)] 급성설사질환 원인 바이러스는 노로바이러스 2.8%, 로타바이러스?장내 아데노바이러스 각 1.4%, 급성설사질환 원인 세균은 살모넬라균 3.6%, 병원성대장균 3.2% 등 3. 수족구병 및 엔테로바이러스감염증 ? 수족구병 의사환자분율은 15.3명(/1,000명당)으로 20주(5.14.-5.20.)부터 14~20명 사이에서 증감 반복 * (연령별) 0-6세 20.2명, 7-18세 4.7명 ? 엔테로바이러스감염증 환자는 55명(포진성구협엽 33명(60.0%), 수족구병 14명(25.5%) 등) 보고 - [병원체(33주차)] 엔테로바이러스 20건(수족구병 19건 등) 4. 안과감염병 ? 유행성각결막염 의사환자분율은 12.4명(/1,000명당)으로 전주(9.7명) 대비 증가 * (연령별) 0~6세 60.3명, 7~19세 21.2명, 20세 이상 9.6명 ? 급성출혈성결막염 의사환자분율은 0.2명(/1,000명당)으로 전주(0.2명) 대비 동일 * (연령별) 0~6세 0.0명, 7~19세 0.2명, 20세 이상 0.2명 |